교육인사이트/특수교육(46)
-
자폐성향적 시각 자극 추구의 특성
1. 짧고 단조롭게 평면적으로 봅니다.자폐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시각적 정보를 짧고 단조롭게, 그리고 평면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복잡한 시각적 자극보다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시각적 패턴에 더 집중하는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그림보다는 단순한 도형이나 패턴에 더 흥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2. 시각적 정보(색깔, 모양, 형태 등) 위주로만 봅니다.감각, 감정에 의해 소통하면서 느끼면서 보지 않습니다.자폐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시각적 정보를 주로 색깔, 모양, 형태와 같은 구체적인 요소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시각적 자극을 감각이나 감정을 통해 소통하고 느끼기보다는 단순히 시각적 요소 자체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화려하고 강렬한 것 (빛, 들어오는 것..
2024.06.08 -
발달장애 아동,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주요 기술] 네 가지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자조기술(self-help skill) 스스로 옷을 입고, 밥을 먹고, 양치, 세수를 하고, 화장실을 가고, 신발을 신고 벗고 하는 등등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얼마 전에 발달장애아를 둔 엄마가 아이가 성인이 되어 갈 데가 없다고 하소연하는 장면을 유튜브를 통해 우연히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제 관심을 끈 것은 그 엄마가 아이의 식사를 돕는 장면이었는데요, 자녀가스무 살이고 특별히 몸이 불편해 보이지 않는데 옆에 앉아서 일일이 밥이며 반찬을 정성스레 숟가락에 올려서 입에 넣어주더군요. 부모의 안타까운 마음은 충분히 이해를 하나 장애를 가지고 있을수록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기..
2024.03.28 -
문제행동 중재시, 우선순위 목표 행동을 찾는 방법 세 가지
“아이의 어떤 행동이 염려가 되나요?” 처음 부모나 교사들을 만나 면담할 때 제가 제일 먼저 하는 질문입니다. 부모나 교사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이게 문제고, 저게 문제고 여러 가지 많은 얘기를 합니다. 말도 안 듣고 도망가고 울고, 떼쓰고, 밥도 잘 안 먹고··· 등등. 끝도 없이 나옵니다. 이러한 일반 정보들을 모아서 분류하고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바꾸는 것도 행동분석가의 중요한 일 중의 하나입니다.행동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듣게 되면, 우선해야 하는 일은 대략적으로 행동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이름 붙이기(labeling)입니다. 분노발작, 지시 따르지 않기,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적 행동 등등으로 나누고 정의를 내립니다. 울고, 바닥에 구르고, 허공에 팔다리를 버둥거리는 것은 분노발작, 지시를..
2024.03.27 -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이해하기 1 - [자폐 특징]
자폐, 또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뇌의 발달 관련 장애로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을 포함합니다. 이 특성들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누군가에게는 더 두드러질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덜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1.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눈맞춤, 표정, 몸짓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대인 관계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의사소통의 문제🔸언어 발달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의사소통의 비정형적인 형태(예: 반복적인 말하기, 이상한 억양이나 리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대화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2024.03.19 -
[틱 장애의 중재방법] -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적 치료 그리고 기타 중재방법
틱 장애의 중재 방법은 증상의 심각성, 개인의 필요,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중재 방법은 크게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두 가지 차이점과 기타 중재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비약물적 치료1. 행동 치료법🔹포괄적 행동 중재(CBIT: Compreh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 for Tics)틱 증상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는 치료법으로, 습관 역전 훈련(HRT)과 노출 및 반응 예방(ERP) 기법을 포함합니다. 🔹습관 역전 훈련(HRT: Habit Reversal Training)틱 발생 전의 욕구를 인지하고, 틱과 호환되지 않는 대체 행동을 찾아 연습하는 방법입니다.🔹노출 및 반응 예방(ERP: Ex..
2024.03.16 -
사회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틱 장애의 원인과 증상]
틱 장애는 갑작스럽고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소리를 내는 비자발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학적 상태입니다. 갑자기 휘파람을 분다거나 킁킁 소리를 낸다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틱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학교와 사회 등 공동체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기도 하는데 오늘은 그 원인과 증상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틱 장애의 원인틱 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연구를 통해 몇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틱 장애는 가족 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향이 있으며,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도파민과 같은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틱 장애와..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