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지능(3)
-
조금 느리더라도, 너는 너라서 괜찮아
문득 어느 책에서 이 글귀를 보고 책갈피에 예쁘게 새겨놓았어요.“얘들아~~ 세상이 요구하는 속도에 맞추지 않아도 괜찮아.” 한 줄의 문장이 이렇게 마음을 울릴 수 있구나 싶었거든요~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가는데, 자꾸만 뒤처지는 기분. 친구들은 술술 해내는 문제를 앞에 두고 멍하니 앉아 있어야 할 때, 몸이 굳은 듯 움직이지 않는 시간 속에서 속삭이듯 들려오는 말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괜찮아. 지금 이대로도 충분해.” 느린 학습자, 조금 다른 속도를 가진 아이들 세상은 늘 빠름을 칭찬하죠. 빠르게 말하고, 빠르게 배우고, 빠르게 적응하는 아이들이 주목받아요. 하지만 모든 아이가 그 속도에 맞출 수는 없어요. 어떤 아이는, 조금 더 천천히 배워요.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들어야 하고, 한 문제를 이해..
2025.04.12 -
교육 현장에서 간과되기 쉬운, [경계선 지능의 이해와 발견]
경계선 지능에 속하는 학생들은 교육 현장 속에서 간과하기 쉽습니다. 이는 단순한 배움이 느린 아이, 공부를 못하는 아이, 눈치 없는 아이, 답답한 아이 등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인다면, 경계선 지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닌지 고민하며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차1. 학습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2. 대인관계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3. 발달사 측면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 1. 학습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 반복해서 알려주어도 자주 잊어버리는가?- 집중이 어렵고 주의가 산만해 ADHD가 아닌지 의심이 되는가?- 한글 맞춤법을 반복해서 연습해도 자주 틀리는가?- 책을 읽..
2025.03.29 -
학습의 어려움과 관련된 각종 명칭 정의 [학습장애, 학습부진 등]
1. 정신지체 주로 신경계통 이상으로 지능지수가 70 이하를 말하며, 지능의 문제로 인해 학습 성취도가 떨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최근에는 '지적장애'라고도 불립니다. 2. 경계선지능(학습지진) 정신지체 수준보다는 우수하지만, 지능이 71~84 정도의 낮은 상태로, 학습을 하는 데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3. 학습부진 정상적인 지능지수를 가지고 신경계의 이상은 없지만 정서적 문제(우울증, 불안, 강박증)가 있거나, 환경요인(불화, 결손가정, 스트레스)때문에 학습 성취도가 떨어진 경우를 일컫습니다.학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공부를 잘 하지 못해서 걱정이에요."라고 할 때는 보통 지능은 정상이지만 정서적 문제나 학습에 대한 자극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어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경우..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