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지능(7)
-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심리 정서적 특성
우리가 놓치기 쉬운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이라는 용어는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이들은 학습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며, 단순히 성적이 낮거나 수업을 따라오지 못하는 수준의 문제가 아니라 보다 깊은 원인과 복합적인 요인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살펴볼 주요 관점은 바로 ‘심리·정서적 특성입니다.학습지원대상학생이란 누구인가?이들은 정서적 불안, 환경적 결핍, 신체적 건강 문제 등 다양한 특수 요인으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일반 학급에 속해 있지만 일반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온전히 참여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해서 특수교육대상자로 분류되기에도 애매한, ‘중간 지대’에 있는 학생들입니다. 이러한 학생들을 더 잘 이..
2025.06.19 -
'특수한 요인'을 지닌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세 가지 범주
경계에 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새로운 방향 최근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는 학생군이 있습니다. 바로 ‘특수한 요인을 지닌 학습지원대상학생’입니다. 이들은 단순히 성적이 낮거나 집중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아니라, 복합적인 배경과 다양한 특수한 요인을 지니고 있어 기존의 일반교육 혹은 특수교육 체계만으로는 충분한 지원을 받기 어려운 학생들입니다. 그렇다면 이 학생들은 누구일까요? 이들을 이해하기 위해선 아래의 도표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학습지원대상학생의 구성 도표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을 크게 세 범주로 나누고 있습니다.1. 기초학력 관련 취약 학생 이 범주는 다문화 배경, 탈북, 건강상의 장기 결석, 소년원 경험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됩니다. 또한 경계선급 지적 기능을 가진..
2025.06.16 -
경계선지능, 느린학습자, 학습지원대상학생… 혼용되는 용어 속 진짜 문제는?
아이의 학습이나 발달이 또래에 비해 다소 느릴 때, 우리는 종종 “조금 느린가?” 혹은 “발달이 늦나?” 하는 질문을 던집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마주하게 되면, 정확한 진단보다 ‘느린 학습자’, ‘경계선지능’, ‘학습지원대상학생’ 등 다양한 용어로 이들을 분류하고 설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용어들이 언제부터, 어떤 배경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단어 뒤에 숨겨진 사회적 맥락과 교육적 의미를 놓치기 쉽습니다.경계선지능의 뿌리는 어디에서 시작됐을까? 경계선지능은 단순한 지능지수(IQ) 수치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1973년을 기준으로 크게 두 시기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1973년 이전에는 DSM-1과 DSM-2에서 경계선..
2025.06.13 -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주요 인지적, 학습적 특성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학습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학습지원대상학생’에 대한 이해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대식(2020)의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주요 인지적·학습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학습지원대상학생이란?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일반적인 학업 수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성적이 낮다고 해서 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인지적, 정서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학습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포괄합니다. 특히, ‘특수요인을 지닌’ 학생들은 학습 부진의 원인이 명확한 경우가 많으며, 이들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
2025.05.28 -
조금 느리더라도, 너는 너라서 괜찮아
문득 어느 책에서 이 글귀를 보고 책갈피에 예쁘게 새겨놓았어요.“얘들아~~ 세상이 요구하는 속도에 맞추지 않아도 괜찮아.” 한 줄의 문장이 이렇게 마음을 울릴 수 있구나 싶었거든요~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가는데, 자꾸만 뒤처지는 기분. 친구들은 술술 해내는 문제를 앞에 두고 멍하니 앉아 있어야 할 때, 몸이 굳은 듯 움직이지 않는 시간 속에서 속삭이듯 들려오는 말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괜찮아. 지금 이대로도 충분해.” 느린 학습자, 조금 다른 속도를 가진 아이들 세상은 늘 빠름을 칭찬하죠. 빠르게 말하고, 빠르게 배우고, 빠르게 적응하는 아이들이 주목받아요. 하지만 모든 아이가 그 속도에 맞출 수는 없어요. 어떤 아이는, 조금 더 천천히 배워요.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들어야 하고, 한 문제를 이해..
2025.04.12 -
교육 현장에서 간과되기 쉬운, [경계선 지능의 이해와 발견]
경계선 지능에 속하는 학생들은 교육 현장 속에서 간과하기 쉽습니다. 이는 단순한 배움이 느린 아이, 공부를 못하는 아이, 눈치 없는 아이, 답답한 아이 등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인다면, 경계선 지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닌지 고민하며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차1. 학습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2. 대인관계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3. 발달사 측면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 1. 학습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특징- 반복해서 알려주어도 자주 잊어버리는가?- 집중이 어렵고 주의가 산만해 ADHD가 아닌지 의심이 되는가?- 한글 맞춤법을 반복해서 연습해도 자주 틀리는가?- 책을 읽..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