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사이트/통합교육(3)
-
장애인식개선교육, 왜?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들어 사회 전반에서 다양성과 포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보건복지부에서는 「장애인복지법 제25조」에 따라 사회적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각급학교 및 기관 소속의 전 직원이 반드시 참여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 교육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인식개선교육의 법적 근거와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장애인복지법 제25조」에 근거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있으며, 유치원부터 대학교에 이르는 각급 학교 직원뿐만 아니라, 보건 및 복지 관련 기관 소속 직원 등 모든 교육 및 복지 기관 종사자들이 그 대상입니다. 특히, 이 교육은 연 1회 이상 반드..
2025.04.10 -
장애학생을 위해 일반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 주의해야 할 점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해 일반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돕고, 서로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장애학생이 가진 강점과 가능성 인식먼저, 가장 중요한 것은 장애를 그 학생의 전부로 보지 않고 그들이 가진 강점과 가능성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입니다.모든 사람은 저마다의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점을 강조하여, 이들이 단순히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그들만의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임을 인식하게 해야 합니다. 이는 학생들이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고, 장애를 개인적 특성의 하나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
2025.03.24 -
통합학급 환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유익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은 통합학급 환경을 통해 서로에게 많은 것을 배우고 유익을 끼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통합학급이 주는 유익에 대해 장애학생 측면에서, 비장애학생 측면에서, 교사의 역할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애학생의 배움과 이득 🔹사회적 상호작용: 비장애학생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상호작용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의사소통 능력 향상: 의사소통의 기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자존감 향상: 동등한 관계 속에서 비장애학생과의 교감은 장애학생의 자존감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사회적응력 강화: 공동체 생활의 기본을 배우며,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응력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낙인 극복: 장애학생이라는 낙인..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