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앤이그로잉(75)
-
[컬러배스 효과] 인지의 힘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변화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정보와 자극을 마주합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똑같이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뇌는 ‘필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걸러냅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심리 현상 중 하나가 바로 컬러배스효과(Color Bath Effect)입니다. 1. 컬러배스효과란 무엇인가? 컬러배스효과는 2001년 일본의 경제 저널리스트 하라 히데토가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특정 색이나 사물, 혹은 관심 있는 주제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것이 유난히 더 많이 눈에 띄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 가방을 사고 싶다고 생각한 순간, 길을 걸으면서 빨간색 가방을 멘 사람들이 눈에 자꾸 들어오는 경험이 바로 컬러배스효과입니다. 즉, 뇌가 ‘관심 있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
2025.10.02 -
성장의 밑거름 [양가감정] 이해하기
우리는 일상에서 한 가지 감정만 느끼는 경우보다 여러 감정이 동시에 뒤섞여 나타나는 순간을 자주 경험합니다. 누군가를 좋아하면서도 미워하는 마음, 기뻤지만 동시에 불안했던 경험, 혹은 성취의 기쁨과 함께 따라온 허무함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양가감정(ambivalence)이라고 부릅니다. 양가감정은 서로 상반되는 감정이 한 사람 안에서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단순히 ‘감정이 흔들린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인간 발달과 교육에서 중요한 성장의 과정이기도 합니다.1. 양가감정의 정의와 특징양가감정은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이 동시에 발생하는 복잡한 심리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새로운 학교에 입학했을 때 설렘과 두려움을 함께 느낄 수 있습니다. 또, 부모가 아이의 성장을 기뻐하..
2025.09.30 -
[급변하는 시대의 교사 역할] 모든 학생은 각기 다른 천재입니다.
최근 한 장의 이미지가 교육 현장과 자기 계발 분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천재입니다. 하지만 물고기를 나무 오르는 능력으로 판단한다면, 그 물고기는 평생 자신이 멍청하다고 믿으며 살아갈 것입니다.” 이 문구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우리에게 전하는 교육 메시지를 새롭게 해석한 것입니다. 이 말의 핵심은 매우 명확합니다. 같은 시험지를 통해 모든 학생을 평가하는 전통적 교육 방식은 사실상 불공정하며, 각기 다른 학생들의 강점과 재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현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무엇일까요? 1. 학생 개별성 존중맞춤형 교육자로서의 교사 오늘날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개별성 존중’입니다. 교사는 학생 한 명 한 명이 가진 고유한 재능과 가능성을 ..
2025.09.25 -
ADHD 진단 받은 아이들의 공존 질환 이해하기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아동 발달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입니다. 흔히 집중력 부족, 과잉행동, 충동 조절의 어려움으로 설명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복합적인 특성을 지닙니다. 특히 중요한 점은 ADHD 아동들이 단순히 한 가지 어려움만 겪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공존질환(동반 질환)을 경험한다는 사실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상당수가 불안장애, 틱장애, 품행장애, 기분장애와 같은 추가적인 심리·행동 문제를 함께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ADHD 아동에게서 어떤 공존질환이 나타나며, 각각 어떤 특징을 보일까요? 1. 적대적 반항장애(40%) ADHD 아동의 약 40%가 적대적 반항장애(ODD)를 함께 경험합니다. 적대적..
2025.09.24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아이의 잠재력을 발견하는 열쇠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이론 중 하나가 바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입니다. 이 이론은 단순히 아이의 성적이나 언어 능력만으로 지능을 평가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잠재력과 강점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학부모와 교사들에게는 아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주며, 교육 방향을 보다 입체적으로 세울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개념과 각 지능의 특징, 그리고 교육 현장과 가정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의 등장 배경 하버드대학교의 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1983년 저서 『마음의 틀(Frame..
2025.09.23 -
우리 시대 청소년들과 청년들의 현실 [7가지 울분과 비애]
오늘날 청소년과 청년들이 겪는 현실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어린 나이부터 시작된 공부 경쟁, 가족 구조의 변화, 학교 생활의 압박, 취업 시장의 불안정성,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는 젊은 세대에게 크나큰 무게로 다가옵니다. 여기서는 청소년과 청년들의 7가지 울분과 비애를 살펴보고, 우리 사회가 어떻게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1. 공부 울분 너무 일찍 시작된 경쟁 많은 아이들은 아직 놀아야 할 나이인 2~3세 무렵부터 학습 경쟁에 뛰어듭니다. 조기 교육과 사교육 열풍 속에서 공부는 놀이가 아니라 생존의 수단이 되어버렸습니다. 이는 학습 동기 저하와 학습 불안을 초래하고, 결국 청소년기의 자존감 형성과 정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훈육 울분 ‘훌륭한 아이’가 ..
20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