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앤이그로잉(69)
-
'특수한 요인'을 지닌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세 가지 범주
경계에 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새로운 방향 최근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는 학생군이 있습니다. 바로 ‘특수한 요인을 지닌 학습지원대상학생’입니다. 이들은 단순히 성적이 낮거나 집중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아니라, 복합적인 배경과 다양한 특수한 요인을 지니고 있어 기존의 일반교육 혹은 특수교육 체계만으로는 충분한 지원을 받기 어려운 학생들입니다. 그렇다면 이 학생들은 누구일까요? 이들을 이해하기 위해선 아래의 도표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학습지원대상학생의 구성 도표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을 크게 세 범주로 나누고 있습니다.1. 기초학력 관련 취약 학생 이 범주는 다문화 배경, 탈북, 건강상의 장기 결석, 소년원 경험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됩니다. 또한 경계선급 지적 기능을 가진..
2025.06.16 -
경계선지능, 느린학습자, 학습지원대상학생… 혼용되는 용어 속 진짜 문제는?
아이의 학습이나 발달이 또래에 비해 다소 느릴 때, 우리는 종종 “조금 느린가?” 혹은 “발달이 늦나?” 하는 질문을 던집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마주하게 되면, 정확한 진단보다 ‘느린 학습자’, ‘경계선지능’, ‘학습지원대상학생’ 등 다양한 용어로 이들을 분류하고 설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용어들이 언제부터, 어떤 배경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단어 뒤에 숨겨진 사회적 맥락과 교육적 의미를 놓치기 쉽습니다.경계선지능의 뿌리는 어디에서 시작됐을까? 경계선지능은 단순한 지능지수(IQ) 수치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1973년을 기준으로 크게 두 시기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1973년 이전에는 DSM-1과 DSM-2에서 경계선..
2025.06.13 -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그들의 학습적 특성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교육 현장에서 ‘조금 느린 아이’, ‘따라가기 버거워하는 아이’를 만나본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입니다. 이 아이들이 바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일 가능성이 높습니다.경계선 지적 기능은 일반적인 지능 수준(IQ 85~115)과 지적장애 수준(IQ 70 미만) 사이에 위치한, IQ 70~85 범위에 속한 학생들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되기에는 기준을 약간 넘지만, 일반적인 수업을 따라가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보이는 독특한 교육적 위치에 있습니다.최승숙 외(2023)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들의 전반적 특성을 발달 영역별로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들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질적인 교육적 접근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1. ..
2025.06.12 -
보수적인 한국의 [특수교육대상 출현율], 그 의미와 시사점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는 ‘포용적 교육(Inclusive Education)’이 점차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는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아동들을 일반 학교 체계 안에서 함께 교육함으로써, 차별 없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특수교육대상 아동의 인식과 지원이 포용적 교육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특수교육 현실은 어떨까요? 최근 OECD 국가들의 특수교육대상아동(SEN, Special Educational Needs) 출현율을 비교한 자료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면, 한국의 현실이 얼마나 보수적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한국, 단 1.6%... 특수교육 대상 출현율 최하위권 위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07년부터 2010년까지의 OECD 평균 ..
2025.06.09 -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주요 인지적, 학습적 특성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학습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학습지원대상학생’에 대한 이해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대식(2020)의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주요 인지적·학습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학습지원대상학생이란?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일반적인 학업 수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성적이 낮다고 해서 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인지적, 정서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학습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포괄합니다. 특히, ‘특수요인을 지닌’ 학생들은 학습 부진의 원인이 명확한 경우가 많으며, 이들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
2025.05.28 -
연필 잡는 모습으로 알아보는 우리 아이 발달 단계
연필을 잡는 능력은 단순히 글씨를 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유아의 소근육 발달, 즉 손가락과 손목을 포함한 정교한 움직임 조절 능력과 직결되며, 인지적 발달과 학습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아이가 연필을 어떻게 잡는지는 그 아이의 발달 단계와 직결되며, 이를 통해 현재 아이의 소근육 발달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단계. 원통 쥐기(주먹쥐기) : 12~24개월이 시기의 유아는 연필을 주먹으로 꽉 쥐고 손 전체를 사용해 움직입니다. 마치 망치질을 하듯 위아래로 움직이며 선을 긋거나 낙서를 합니다. 이는 연필을 제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손가락의 분화된 움직임보다는 전체적인 팔과 어깨 근육을 사용하는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발달적 특징 - 손가락의 정교한..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