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9)
-
자폐아동의 상동행동에도 다 이유가 있다
흔히 주변에서 자폐아동들에게서 볼 수 있는 행동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계속해서 손가락을 흔들면서 놀거나, 몸을 흔들면서 노는 것처럼 같은 움직임을 반복하는 것, 특정 말이나 문구를 반복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따라 하는 걸 반복하기, 깡충깡충 뛰거나 빛을 응시하는 등. 이러한 상동행동들은 특정 목적 없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이러한 자폐아이들의 상동에도 다 이유가 있답니다.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1. 환상적 놀이자폐 아이들은 감각을 다르게 느낍니다. 훨씬 더 자세하고, 풍부하고, 다채롭게 느끼는 것이지요. 어느 한 자폐 작가는 감각놀이를 통해 '샘솟는 기쁨'을 느낀다고 표현한 적이 있습니다. 멈추지 않고 계속계속 생각나는 너무 재미있는 놀이. 이것이..
2024.07.04 -
난독증 진단 및 검사 종류와 특징
학습의 기저가 되는 정보처리능력을 평가하는 국내검사에는 CLT, KORAL, RARCP, BASA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검사들은 공통적으로 의미단어와 무의미 단어 소리 내어 읽기, 긴 글 소리 내어 읽기, 음운인식능력 검사, 기타 음운처리능력 검사(빠른 이름 대기, 작업기억력, 단기 기억력), 받아쓰기와 언어이해력 평가와 같은 검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CLT검사 CLT검사는 아동 및 청소년 학생들의 난독증과 난산증을 조기선별, 진단 및 향상도 측정을 위해 만들어진 CLT-R과 난산증의 조기선별, 진단 및 향상도 측정을 위해 만들어진 CLT-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읽기에 관한 9개의 소검사와 연산에 관한 7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CLT는 국내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
2024.06.27 -
미래에 필요한 역량과 대학 교육의 가치
미래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자기주도 학습이 대학교나 학교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걸 검색하고 영상으로 시청해서 배울 수 있는 유튜브 선생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런시대적 흐름에 따라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2030년까지 학생들이 갖춰야 할 역량을 제시하는 프레임워크인 "교육 2030"에서 변혁적 역량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의 가치와 목적도 재고해야 합니다.1. 변혁적 역량 (Transversal Competencies)🔹새로운 가치 만들기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협업 능력 등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갈등과 딜레마 조정하기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
2024.06.27 -
영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연령별 난독증 증상]
1. 영. 유아기의 난독증 증상 🔸15개월이 되어도 단어를 잘 말하지 못합니다.🔸24개월이 지나도 문장으로 말하지 못합니다(단, 언어가 느리다고 모두 난독증은 아닙니다). 🔸3~4세가 되어도 운율에 대한 감각이 둔합니다. 2. 취학전 아동의 난독증 증상 🔸문장을 표현할 때 단어의 첫소리인 두음을 종종 빼먹습니다.🔸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음절들이 순서가 뒤죽박죽 바뀔 때도 있습니다.🔸길고 복잡한 단어를 말하려고 할 때 조음 문제가 나타납니다. 3. 학령기 아동의 난독증 증상 🔸잘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다른 단어로 대체해서 읽거나 생략하는 경우가 많고 발음 오류가 빈번합니다.🔸읽는 속도가 느려 시험 지문의 내용이 길고 문항수가 많으면 제한 시간 내에 읽지 못해 다 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2024.06.26 -
자녀를 키울 때 꼭 버려야 할 세 가지
어느 날 우연히 듣게 된 고려대 석좌교수이신 조벽교수님의 자녀교육 강의를 듣고 많은 공감이 느껴져 함께 나눠볼까 합니다. 조벽교수는 자식에게 필요한 부모의 역할을 변호사에 비유하면서 '꼭 버려야 할 세 가지'에 대해 교훈을 전합니다. 1. M.A.D 교육 내용을 달달 외우고(Memorizing), 분석하고(Analyzing), 계산하게(Data processing)하는 교육을 말합니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단순히 외우기와 계산에만 집중하게 하고 창의적 사고나 문제해결 능력을 발전시키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성과 혁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오로지 외우기와 계산에만 의존하는 교육은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능력..
2024.06.26 -
ADHD 선별 체크리스트
1. 세부적인 면에 대해 꼼꼼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한다. 2.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거나 의자에 앉아서도 몸을 꼼지락거린다. 3.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할 때 지속적으로 주의를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4. 자리에 앉아 있어야 하는 교실이나 다른 상황에서 앉아있지 못한다. 5. 다른 사람이 마주 보고 이야기할 때 경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6. 그렇게 하면 안되는 상황에서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오른다. 7. 지시를 따르지 않고 일을 끝마치지 못한다. 8. 여가활동이나 재미있는 일에 조용히 참여가 어렵다. 9. 과제와 일을 체계적으로 하지 못한다. 10. 끊임없이 무언가를 하거나 마치 모터가 돌아간 듯 움직인다. 11.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과제(학교공..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