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중재(2)
-
[문제행동, 위기행동, 행동중재]에 대해 이해하고 실천하기
학교나 가정에서 아이들의 행동을 관찰하다 보면, 때때로 일반적인 행동 범주에서 벗어나는 모습들을 보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단순한 버릇이나 일시적인 감정 기복일 수 있지만, 반복되거나 심화된다면 '문제행동' 또는 '위기행동'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행동중재'가 필요해집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제 생활 속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문제행동이란 무엇인가? 문제행동은 학교나 가정에서 정서적 또는 행동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고 소리를 지르거나, 친구들과 자주 다투는 행동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학습의 흐름을 방해할 뿐 ..
2025.04.11 -
문제행동 중재시, 우선순위 목표 행동을 찾는 방법 세 가지
“아이의 어떤 행동이 염려가 되나요?” 처음 부모나 교사들을 만나 면담할 때 제가 제일 먼저 하는 질문입니다. 부모나 교사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이게 문제고, 저게 문제고 여러 가지 많은 얘기를 합니다. 말도 안 듣고 도망가고 울고, 떼쓰고, 밥도 잘 안 먹고··· 등등. 끝도 없이 나옵니다. 이러한 일반 정보들을 모아서 분류하고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바꾸는 것도 행동분석가의 중요한 일 중의 하나입니다.행동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듣게 되면, 우선해야 하는 일은 대략적으로 행동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이름 붙이기(labeling)입니다. 분노발작, 지시 따르지 않기,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적 행동 등등으로 나누고 정의를 내립니다. 울고, 바닥에 구르고, 허공에 팔다리를 버둥거리는 것은 분노발작, 지시를..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