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행동(3)
-
어떤 행동이든 다 이유가 있다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아이의 행동에는 늘 이유가 있습니다. 부모와 교사가 아이를 지도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문제행동을 마주할 때가 많습니다. 때로는 분노, 떼쓰기, 공격성, 산만함처럼 감당하기 어려운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러한 행동을 무조건 억압하거나 통제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문제행동을 제대로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살펴보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 이미지의 내용을 토대로, 아이의 어려운 행동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모든 행동에는 원인이 있다문제행동이든 바람직한 행동이든, 아이의 행동은 원인 없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친구를 밀치거나,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데에는 저마다의 이유가 존재합..
2025.08.27 -
[문제행동, 위기행동, 행동중재]에 대해 이해하고 실천하기
학교나 가정에서 아이들의 행동을 관찰하다 보면, 때때로 일반적인 행동 범주에서 벗어나는 모습들을 보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단순한 버릇이나 일시적인 감정 기복일 수 있지만, 반복되거나 심화된다면 '문제행동' 또는 '위기행동'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행동중재'가 필요해집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제 생활 속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문제행동이란 무엇인가? 문제행동은 학교나 가정에서 정서적 또는 행동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고 소리를 지르거나, 친구들과 자주 다투는 행동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학습의 흐름을 방해할 뿐 ..
2025.04.11 -
발달장애 아동,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주요 기술] 네 가지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자조기술(self-help skill) 스스로 옷을 입고, 밥을 먹고, 양치, 세수를 하고, 화장실을 가고, 신발을 신고 벗고 하는 등등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얼마 전에 발달장애아를 둔 엄마가 아이가 성인이 되어 갈 데가 없다고 하소연하는 장면을 유튜브를 통해 우연히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제 관심을 끈 것은 그 엄마가 아이의 식사를 돕는 장면이었는데요, 자녀가스무 살이고 특별히 몸이 불편해 보이지 않는데 옆에 앉아서 일일이 밥이며 반찬을 정성스레 숟가락에 올려서 입에 넣어주더군요. 부모의 안타까운 마음은 충분히 이해를 하나 장애를 가지고 있을수록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기..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