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사이트/교사교육(15)
-
연습하면 완벽해진다?, 아니 연습하면 익숙해질 뿐이다 [연습의 역설]
‘Practice makes perfect.’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영어 속담입니다. “연습하면 완벽해진다.”는 말은 오랫동안 노력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현대의 신경과학은 이 오래된 믿음에 중요한 반론을 제기합니다.오늘날 뇌 과학은 이렇게 말하죠. “연습하면 완벽해지는 것이 아니라, 익숙해질 뿐이다.” 이 문장은 단순한 표현의 차이를 넘어, 학습과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1. 반복 연습의 뇌 과학: 신경 연결의 강화우리의 뇌는 반복된 행동을 ‘패턴’으로 기억합니다. 같은 행동을 여러 번 반복할수록 뇌 속의 신경세포(뉴런)들이 강하게 연결되며, 이를 시냅스 강화(synaptic strengthening)라고 부릅니다. 이 현상 덕분에 자전거 타기, 악기 연주, 타..
2025.10.13 -
[컬러배스 효과] 인지의 힘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변화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정보와 자극을 마주합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똑같이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뇌는 ‘필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걸러냅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심리 현상 중 하나가 바로 컬러배스효과(Color Bath Effect)입니다. 1. 컬러배스효과란 무엇인가? 컬러배스효과는 2001년 일본의 경제 저널리스트 하라 히데토가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특정 색이나 사물, 혹은 관심 있는 주제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것이 유난히 더 많이 눈에 띄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 가방을 사고 싶다고 생각한 순간, 길을 걸으면서 빨간색 가방을 멘 사람들이 눈에 자꾸 들어오는 경험이 바로 컬러배스효과입니다. 즉, 뇌가 ‘관심 있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
2025.10.02 -
[급변하는 시대의 교사 역할] 모든 학생은 각기 다른 천재입니다.
최근 한 장의 이미지가 교육 현장과 자기 계발 분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천재입니다. 하지만 물고기를 나무 오르는 능력으로 판단한다면, 그 물고기는 평생 자신이 멍청하다고 믿으며 살아갈 것입니다.” 이 문구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우리에게 전하는 교육 메시지를 새롭게 해석한 것입니다. 이 말의 핵심은 매우 명확합니다. 같은 시험지를 통해 모든 학생을 평가하는 전통적 교육 방식은 사실상 불공정하며, 각기 다른 학생들의 강점과 재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현대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무엇일까요? 1. 학생 개별성 존중맞춤형 교육자로서의 교사 오늘날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개별성 존중’입니다. 교사는 학생 한 명 한 명이 가진 고유한 재능과 가능성을 ..
2025.09.25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아이의 잠재력을 발견하는 열쇠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이론 중 하나가 바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입니다. 이 이론은 단순히 아이의 성적이나 언어 능력만으로 지능을 평가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잠재력과 강점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학부모와 교사들에게는 아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주며, 교육 방향을 보다 입체적으로 세울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개념과 각 지능의 특징, 그리고 교육 현장과 가정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의 등장 배경 하버드대학교의 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1983년 저서 『마음의 틀(Frame..
2025.09.23 -
효과적인 공동 수업을 위한 6가지 전략 [협력교수의 유형]
현대 교육 현장은 단순한 일방향 수업을 넘어, 다양한 교사들이 함께 협력하여 학생 중심의 수업을 만들어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협력교수(Co-Teaching)입니다. 협력교수란 두 명 이상의 교사가 같은 학급에서 함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교수 방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협력교수의 6가지 대표적인 유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각 방식의 특징과 장점을 소개하겠습니다. 1. 교수 관찰 교수(Model Teaching) 교수 관찰 교수는 한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고, 다른 교사는 이를 관찰하며 학생들의 학습 상태나 행동을 분석하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주 교사가 학습 개념..
2025.08.28 -
장애아이 부모의 심리변화 단계에 따른 교사의 상담 팁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둔 부모는 자녀의 진단을 처음 접한 순간부터 다양한 심리적 변화 단계를 겪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수용과 거부'라는 이분법적 감정이 아니라, 깊은 혼란과 저항, 절망을 동반한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교사는 이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단계별로 적절한 상담 태도와 언어를 구사함으로써 부모의 심리적 안정을 돕고, 자녀의 성장과 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부모가 겪는 심리 변화 단계를 5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 특징과 교사의 상담 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부정 단계 🔹특징부모가 자녀의 장애를 인정하지 못하고, 진단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는 시기입니다. “우리 아이가 왜 여기에 와야 하죠?”, “다른 병원에 가보려고요.”와 같은 말로 상황을 부정하거나 ..
202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