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2. 08:20ㆍ교육인사이트/특수교육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동들은 종종 특정 감각에 민감하거나 반대로 감각 자극을 계속해서 추구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중에서도 시각추구(Visual Seeking)는 많은 부모님들과 교사들이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는 행동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시각추구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오늘은 시각추구가 무엇인지 왜 일어나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각추구란?
시각추구란, 눈으로 보는 자극을 지나치게 좋아하거나 집착해서 계속해서 시각적 자극을 찾고 집중하는 감각 행동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자폐 아동이 시각적인 것에 끊임없이 몰두하거나 특정한 시각 자극을 반복해서 보며 즐기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2. 시각추구 행동,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다음과 같은 행동이 자주 관찰된다면 시각추구의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불빛을 계속 쳐다본다.
🔸 손전등이나 손에 든 빛을 흔들며 노는 것을 좋아한다.
🔸 선풍기, 바퀴처럼 빙글빙글 도는 것을 유난히 오래 바라본다.
🔸 반짝이거나 빛나는 장난감에 집착한다.
🔸 사물의 윤곽선이나 그림자 등을 계속 따라 눈으로 추적한다.
🔸 TV 화면을 가까이서 보거나 화면에 집중하며 시선을 떼지 않는다.
🔸 자신의 머리카락이나 옷자락, 주변 물체를 눈으로 훑는 행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행동은 어른의 눈에는 이해되지 않거나 이상해 보일 수 있지만, 자폐 아동에게는 세상을 이해하고 스스로를 안정시키는 하나의 방식일 수 있습니다.
3. 왜 이런 행동을 할까요?
자폐 아동은 일반적인 아동보다 감각 자극을 다르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아이는 소리에 지나치게 민감한 반면, 어떤 아이는 촉감 자극에 예민하거나 반대로 감각 자극이 둔감하여 더 많은 자극을 원하기도 합니다. 시각추구 행동은 바로 ‘시각 자극’에 대한 높은 욕구나 감각 조절의 어려움에서 비롯됩니다. 즉, 시각적으로 도는 물체를 오래 바라보거나, 반짝이는 물체에 몰두하는 것은 뇌의 감각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거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자기 조절(Self-Regulation) 수단인 것이죠.
이러한 시각추구 행동은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심리적인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행동이 지나치게 반복되거나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을 방해할 정도라면 적절한 중재와 지도가 필요합니다.
4.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시각추구는 단순히 ‘이상행동’이 아닌, 아이의 감각적인 욕구를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그 욕구를 억제하기보다는,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 적절한 시각 자극 제공
반짝이는 물건이나 회전하는 장난감을 일정 시간 활용하여 욕구를 채워줄 수 있도록 합니다. 단, 그 시간을 정해두고 스케줄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각적 집중을 유도하는 활동 활용
퍼즐 맞추기, 미로찾기, 그림 관찰하기, 블록 맞추기 등 시각 자극을 주되 학습과 연계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합니다.
🔸 다른 감각을 활용한 통합 활동 제안
촉각, 청각 등 다른 감각도 함께 자극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해 시각추구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예: 빛나는 젤리 슬라임 만지기, 음악이 나오는 그림책 보기 등
🔸 주의집중 및 전이 연습
아이가 특정 시각 자극에만 몰두하지 않도록, 시선을 전환하는 연습을 반복하고, ‘이제 다른 걸 볼 시간이야’와 같은 말로 상황을 전환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5. 전문가의 평가 및 중재 전략 활용
감각통합 치료사나 특수교사의 도움을 받아 아이의 감각 유형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활동과 중재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시각추구는 자폐 아동이 세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방식이며, 자신을 표현하고 안정시키는 도구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무조건 고쳐야 할 문제로만 보지 말고, 아이의 감각적 욕구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시선에서 접근해 주세요. 감각의 세계는 누구에게나 다릅니다. 중요한 것은, 그 세계를 함께 이해하고 조율해 나가려는 어른들의 태도입니다.
'교육인사이트 >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함께 살아가는 세상, 베리어프리(Barrier-Free)란 무엇일까? (0) | 2025.04.30 |
---|---|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방향 (0) | 2025.04.23 |
장애를 딛고 세상을 바꾼 10인의 위대한 인물들 (0) | 2025.04.18 |
특수교육대상자 장애 유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3.31 |
교육 현장에서 간과되기 쉬운, [경계선 지능의 이해와 발견]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