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연구소(2)
-
'특수한 요인'을 지닌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세 가지 범주
경계에 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새로운 방향 최근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는 학생군이 있습니다. 바로 ‘특수한 요인을 지닌 학습지원대상학생’입니다. 이들은 단순히 성적이 낮거나 집중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아니라, 복합적인 배경과 다양한 특수한 요인을 지니고 있어 기존의 일반교육 혹은 특수교육 체계만으로는 충분한 지원을 받기 어려운 학생들입니다. 그렇다면 이 학생들은 누구일까요? 이들을 이해하기 위해선 아래의 도표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학습지원대상학생의 구성 도표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을 크게 세 범주로 나누고 있습니다.1. 기초학력 관련 취약 학생 이 범주는 다문화 배경, 탈북, 건강상의 장기 결석, 소년원 경험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됩니다. 또한 경계선급 지적 기능을 가진..
2025.06.16 -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그들의 학습적 특성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교육 현장에서 ‘조금 느린 아이’, ‘따라가기 버거워하는 아이’를 만나본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입니다. 이 아이들이 바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일 가능성이 높습니다.경계선 지적 기능은 일반적인 지능 수준(IQ 85~115)과 지적장애 수준(IQ 70 미만) 사이에 위치한, IQ 70~85 범위에 속한 학생들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되기에는 기준을 약간 넘지만, 일반적인 수업을 따라가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보이는 독특한 교육적 위치에 있습니다.최승숙 외(2023)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들의 전반적 특성을 발달 영역별로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들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질적인 교육적 접근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1. ..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