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공동 수업을 위한 6가지 전략 [협력교수의 유형]

2025. 8. 28. 08:23교육인사이트/교사교육

현대 교육 현장은 단순한 일방향 수업을 넘어, 다양한 교사들이 함께 협력하여 학생 중심의 수업을 만들어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협력교수(Co-Teaching)입니다. 협력교수란 두 명 이상의 교사가 같은 학급에서 함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교수 방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협력교수의 6가지 대표적인 유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각 방식의 특징과 장점을 소개하겠습니다. 

 

1. 교수 관찰 교수(Model Teaching)

교수 관찰 교수는 한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고, 다른 교사는 이를 관찰하며 학생들의 학습 상태나 행동을 분석하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주 교사가 학습 개념을 설명하는 동안 보조 교사는 학생들의 집중도, 이해 정도, 참여 여부 등을 세밀하게 기록합니다.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는 이후 수업 피드백이나 맞춤형 학습 지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

① 학생 개개인에 대한 세밀한 관찰 가능

② 수업 후 교사 간 피드백으로 교수 질 향상

③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한 맞춤형 지원 제공

 

2. 교수 지원 교수(Supportive Teaching)

교수 지원 교수는 한 교사가 수업을 이끌고, 다른 교사가 보조 역할을 하는 형태입니다. 주 교사가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 동안 보조 교사는 학생들에게 개별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학습 자료를 나눠주는 등 전반적인 학습 환경을 지원합니다.

▶️활용 예시

①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게 추가 설명 제공

② 실습 활동 시 학생 개별 지도를 강화

③ 수업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집중도 향상 유도

▶️장점

① 수업 흐름이 원활해지고 효율성 증가

② 학생 맞춤형 피드백 가능

③ 학습 격차 해소에 효과적   

 

3. 평행 교수(Parallel Teaching)

평행 교수는 학급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교사가 동일한 학습 목표를 바탕으로 그룹별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 반을 절반으로 나눠 동일한 수업 내용을 동시에 지도하는 것이죠.

▶️장점

① 소그룹 지도를 통해 학생 참여율 증가

②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강화

③ 학습 수준에 따른 맞춤형 피드백 가능

▶️활용 팁

평행 교수는 학생 수가 많거나 학습 격차가 큰 학급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 학생 개개인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스테이션 교수(Station Teaching)

스테이션 교수는 학습 주제를 여러 개의 소주제로 나누고, 학급을 여러 그룹으로 편성해 스테이션 형태로 순환하며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 시간에 ‘분수의 개념’, ‘분수의 덧셈’, ‘분수의 비교’라는 세 가지 소주제를 준비해 학생들이 순서대로 학습하도록 구성하는 식입니다.

▶️장점 

① 학생 주도 학습이 가능

② 학습 흥미와 집중력 상승

③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어 창의성 증진

▶️활용 예시

① 과학 실험, 미술 수업 등 체험 중심 수업

②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③ 협동 학습 및 문제 해결 능력 강화

 

5. 대안적 교수(Alternative Teaching)

대안적 교수는 한 교사가 소그룹을 따로 지도하면서, 다른 교사가 나머지 학생들과 전체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학습 부진 학생,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 또는 심화 학습이 필요한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장점

① 학생의 학습 수준과 필요에 맞춘 맞춤형 학습 제공

② 학습 격차 해소 및 심화 학습 모두 가능

③ 학생의 학습 자신감 향상

▶️활용 예시

① 수학에서 개념을 어려워하는 학생을 소그룹으로 지도

② 국어 시간에 심화 토론

③ 그룹을 따로 구성해 사고력 향상

 

6. 팀티칭(Team Teaching)

팀티칭은 두 명 이상의 교사가 동등한 위치에서 함께 수업을 주도하는 협력교수의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수업을 분담하지 않고, 교사들이 자연스럽게 서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수업을 이끌어가는 방식으로, 학생들은 마치 한 편의 대화를 듣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장점

① 다양한 교수법을 동시에 활용 가능

② 교사들의 전문성을 극대화

③ 학생에게 보다 풍부한 학습 경험 제공

▶️활용 팁

팀티칭은 교사 간 사전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역할 분담과 수업 흐름을 충분히 논의하면 더욱 효과적인 수업을 만들 수 있습니다.

 

7. 협력교수의 효과와 활용 전략

협력교수는 단순히 교사가 두 명이라고 해서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 아닙니다. 교사 간의 철저한 사전 협의와 역할 분담, 학생 중심의 학습 설계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학생 개별 맞춤형 학습 지원 교사의 전문성 강화 및 상호 피드백 수업 참여도와 학습 성취도 향상 협력과 소통을 통한 교육 공동체 강화

 

협력교수는 단순히 교사가 함께 수업하는 것을 넘어, 학생 중심의 학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전략입니다. 교수 관찰 교수, 교수 지원 교수, 평행 교수, 스테이션 교수, 대안적 교수, 팀티칭 등 6가지 유형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면 학생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 협력교수를 도입할 때는 학생의 특성, 학습 목표, 교사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에게 보다 풍부하고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