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인스워스의 애착유형 4가지

2025. 7. 25. 08:11교육인사이트/부모교육

발달심리학자 메리 에인스워스(Mary Ainsworth)는 애착이론을 발전시킨 심리학자로, 존 볼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을 기반으로 '낯선 상황 실험(Strange Situation)'을 통해 영아의 애착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했습니다. 그녀는 아이들이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4가지 애착 유형을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래는 에인스워스가 제시한 애착 유형 4가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1. 안정 애착(Secure Attachment)

▶️ 특징: 안정 애착을 가진 아이는 양육자가 일관되고 민감하게 반응해 준 결과, 양육자를 신뢰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합니다. 낯선 상황에서 양육자가 자리를 비우면 슬퍼하거나 불안해하지만, 다시 돌아왔을 때 쉽게 안정을 찾고 다시 놀 수 있게 됩니다.

▶️ 행동 특성: 양육자와 함께 있을 때 탐색 활동에 적극적 양육자가 떠나면 불안함을 보이지만 다시 돌아오면 쉽게 달래지고 정서가 안정됨, 타인과도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

▶️ 양육 스타일: 일관적이며 민감하고 반응적인 돌봄

 

2. 회피 애착(Avoidant Attachment)

▶️ 특징: 이 유형의 아이는 양육자에게서 정서적 관심이나 위안을 받지 못한 경험이 반복되어, 감정을 억제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양육자의 부재에 큰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돌아와도 무관심하거나 외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행동 특성: 양육자가 떠나도 거의 반응하지 않음 돌아와도 접근을 꺼리거나 외면 낯선 사람에게도 비슷한 반응을 보임 감정 표현을 억제하고 자기 위주로 행동

▶️ 양육 스타일: 무관심하거나 거부적인 태도, 정서적 반응 부족

 

3. 양가 애착(Ambivalent/Resistant Attachment)

▶️ 특징: 양육자의 반응이 일관되지 않거나 예측 불가능할 때 나타납니다. 아이는 양육자를 갈망하면서도 동시에 불안감과 분노를 함께 느낍니다. 그래서 양육자에게 매달리다가도 쉽게 달래 지지 않고 화를 내거나 거부하는 이중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 행동 특성: 양육자와 떨어지기 싫어하고 과도하게 매달림 떠나면 극심한 불안을 보임 돌아오면 가까이 가면서도 화를 내거나 밀침 정서적 안정이 오래 걸림

▶️ 양육 스타일: 일관성 없고 예측 불가능한 반응, 때로는 과잉보호와 무관심이 반복됨

 

4. 혼란 애착(Disorganized Attachment)

이 유형은 이후 연구자 메인과 솔로몬(Main & Solomon, 1986)에 의해 추가로 분류됨

▶️ 특징: 이 유형은 양육자가 아이에게 공포의 대상이 될 때 (예: 학대, 방임, 트라우마 유발 등) 나타나며, 아이는 접근하고 싶지만 동시에 두려움을 느껴 혼란된 행동을 보입니다. 명확한 애착 행동 패턴이 없고, 혼돈된 반응을 보입니다.

▶️ 행동 특성: 양육자에게 다가가려다 도망치거나 얼어붙음. 양육자의 귀환 시 공포, 혼란, 혼동된 행동 자해, 공격성 등 부적절한 정서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음

▶️ 양육 스타일: 학대, 방임, 감정적으로 위협적인 태도, 트라우마 유발 환경

 

5. 애착 유형이 중요한 이유

에인스워스의 애착 유형 이론은 유아기 경험이 이후 전 생애에 걸쳐 관계 형성, 정서 조절, 자존감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특히 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사회적 기술, 스트레스 대응력, 학습 능력에서 우수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불안정 애착 유형의 아이는 불안, 우울, 공격성, 대인관계 문제 등의 위험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애착유형 특징 양육자와의 관계 향후 영향
안정 애착 정서적 안정감, 신뢰 일관된 민감한 반응 건강한 대인관계, 높은 자존감
회피 애착 무관심, 거리두기 정서적 거리, 무반응 감정 억제, 친밀감 회피
양가 애착 불안정, 매달림과 분노 예측 불가능한 반응 불안, 집착, 감정기복
혼란 애착 혼란, 공포, 일관성 없음 위협적 또는 방임 정서장애, 행동문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