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틱 장애의 원인과 증상]

2024. 3. 15. 10:21특수교육

틱 장애는 갑작스럽고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소리를 내는 비자발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학적 상태입니다. 갑자기 휘파람을 분다거나 킁킁 소리를 낸다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틱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학교와 사회 등 공동체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기도 하는데 오늘은 그 원인과 증상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틱 장애의 원인

틱 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연구를 통해 몇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틱 장애는 가족 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향이 있으며,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도파민과 같은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틱 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

틱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서는 뇌의 특정 부위, 특히 기저핵과 관련된 구조적 및 기능적 변화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4. 환경적 요인

감염, 합병증, 스트레스 및 정신적 외상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틱 장애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틱 장애의 증상

틱 장애는 특징적으로 모터 틱(motor tics)과 음성 틱(vocal tics) 두 가지 유형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이들 증상은 간단하고 복잡한 형태로 나뉠 수 있으며, 개인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모터 틱(운동성 틱)

🔸간단한 모터 틱

갑작스럽고 빠르며 목적 없는 움직임으로, 특정 근육 그룹이 관여합니다.

예를 들어 깜박임과 어깨 으쓱임 또는 눈 찡그림 과 눈썹 움직임, 머리 흔들기, 코 찡그림 등이 나타납니다.

🔸복잡한 모터 틱

좀 더 조정된 움직임으로, 여러 근육 그룹이 관여합니다.

예를 들어 얼굴을 찌푸리는 것, 손가락으로 특정 동작을 하는 것, 몸을 굽히는 것, 뛰기, 타인을 모방하는 행동 (에코프락시아), 자기 자신을 때리거나 꼬집는 행동 등으로 나타납니다.

 

2. 음성 틱(성대/발성 틱)

🔸간단한 음성 틱

간단하고 갑작스러운 소리나 노이즈를 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한 가지 음성이나 소리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기침, 목을 가다듬는 소리, 코를 킁킁거리는 소리, 휘파람, 특정 소리나 단어 등을 반복합니다.

🔸복잡한 음성 틱

좀 더 복잡하거나 의미 있는 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때로는 문장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복적인 단어나 구절 사용, 자신이나 타인의 말을 반복(에코랄리아),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거나 모욕적인 말(코프로랄리아) 등이 나타나는데 이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팔릴랄리아

자신이 말한 것을 비속어나 부적절한 말로 반복하는 행동이며, 이 역시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모터 틱 + 음성 틱

틱 장애는 특히 투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과 같은 경우 다양한 증상의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모터 틱과 음성 틱이 모두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변동성

틱의 빈도와 강도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흥분, 피로, 아니면 이완 상태일 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억제 가능성

일부 환자들은 단기간 동안 틱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는 종종 틱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내부적인 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각성

많은 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틱을 내기 전에 전조 증상이나 욕구를 느낄 수 있으며, 틱을 내고 난 후에 일시적인 안도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틱 장애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성별, 나이, 스트레스 수준, 전반적인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틱은 소아기 또는 청소년기에 시작되며, 대부분의 틱 장애는 성인이 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성인기에도 지속적으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틱 장애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며, 증상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함께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