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화교육지원팀]은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되나요?

2024. 1. 9. 10:57특수교육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은 개별화교육이 이루어집니다. 원활한 개별화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별화교육 목표를 계획하고 공유하기 위한 팀이 꾸려져야 하는데요, 오늘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 22조 그리고 동법 시행규칙 제4조에 의한 개별화교육지원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개별화교육지원팀은 왜 필요한가요?

 
특수교육대상 아동들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의 정보를 공유하며 학생의 특성을 다각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팀입니다. 학생의 현재 수준과 진보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교육의 명확한 목표를 도출할 수 있으며, 또래와 함께 공부하는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는 여전히 인식 차이가 존재하게 되는데 개별화교육지원팀을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통로가 됩니다. 또한 관리자와 통합학급 교사에게 있어서는 특수교사의 업무와 역할을 이해하고 현실적인 지원과 협력을 할 수 있는 통로이기도 합니다. 급변하는 시대에 필요한 준비를 하기 위해서 생애주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 전환기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는 무엇이고 어떤 이야기를 나누나요?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는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제공하기 위해 보호자, 통합학급 담임교사, 특수학급 담임교사, 학교관리자가 모여서 교육목표, 교육 방법, 교육내용,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전반적인 학교생활 지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입니다.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는 매학기마다 하게 되어 있으며 전학이나 특별한 사안이 있을 때는 비정기적으로 열리기도 합니다.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총괄 책임은 학교장이, 업무 담당자는 특수학급교사로 하며 매 학기 시작 후 30일 이내에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이를 위한 회의를 소집합니다.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에서는 각 구성원이 관찰한 사항을 바탕으로 가정에서의 모습, 통합학급에서의 모습, 특수학급에서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통합학급 생활을 위해 필요한 지원, 특수학급에서 다루고 배울 내용, 가정의 협력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특수학급에서 공부할 시간을 정하고, 현장 체험학습이나 학예회와 같은 통합학급 행사에 원활하게 참여하기 위한 지원 방법, 보조원 배치를 비롯한 통합교육지원 계획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결정하게 됩니다. AAC(보완대체의사소통)와 같은 의사소통 기구가 필요하거나 보조공학기기가 필요하다면 이에 대한 논의도 하게 됩니다.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지원사항이 논의되는 자리이기에 가능하면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의 부족한 부분뿐 아니라 강점에 대한 정보도 공유하여 학교생활에서 강점을 키우는 방법도 함께 논의 되어져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