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2)
-
자폐증을 갖고 있는 아이들과 잘 소통하려면? [자폐증 아이 소통법]
주변에서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을 대해 본 적이 있나요? 자폐에 대해 잘 모르면 그들과 소통하기 쉽지 않습니다. 심지어 부모와 친구, 상담사, 교사, 친구들도 자폐에 대한 이해 없이 대하면 오히려 자폐 친구들은 더욱더 마음을 닫아버리기 일쑤입니다. 그들이 바뀌도록 요구하거나 부담을 주기 이전에 우리가 먼저 그들에 대한 시각이 바뀌어야 합니다. 우리가 바뀌면 그들도 바뀝니다. 1. 깊은 관심으로 행동을 이해합니다.자폐증 친구들이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며 사는지 알기 위해 노력해봅니다. 또 자신이나 다른 사람 혹은 다른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험을 일반화하는 대신, 자신이 맡은 사람에게 깊은 관심을 갖고 그 사람의 행동을 읽고 이해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2.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생각합니다. 소통을 잘 하..
2025.02.14 -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이해하기 1 - [자폐 특징]
자폐, 또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뇌의 발달 관련 장애로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을 포함합니다. 이 특성들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누군가에게는 더 두드러질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덜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1.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눈맞춤, 표정, 몸짓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대인 관계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의사소통의 문제🔸언어 발달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의사소통의 비정형적인 형태(예: 반복적인 말하기, 이상한 억양이나 리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대화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2024.03.19